요즈음에 아파트들의 관리가 매우 힘들다고들 합니다 저마다 자기위주로 말들을 하니-
오늘은 일반 입주민들은 물론 이관리분야에 입문하시는분들에게 팁, 아주 유용한 정보를
보통 일반입주민들께서는 알려고하지않거나 아주 높은 담즘으로 여기는---
그런 전문가적인 관리세게에 대하여 나름대로 경험을 바탕으로 몇가지를 기술할가 합니다
요즈음에 주택관리사들의 홍수내지는 남발의 시대인것은 다들 아실것이고,
관리를 맡기는 문제는 예전보다 아주 쉬워진것도 다들 아시는 일이지요
그러나 정작 문제있고 심각하게 꼬이고 얽힌 단지가 오히려 더많이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이유는 많이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아파트의 관리를 너무 쉽게 여기는것은 아닌가 합니다
적어도 한동네의 ,한마을의 소소한 일상사를 아니 어저면 아주 중요한 생활문제에 대한 관리를 하는데 그냥 "관리비 얼마를 내는정도"로 아직도 여기고 계시는분들이 있으신지는??
그러다보니 아파트관리에 관심있는 카페에서나 단체등을 둘러보면 많은 방문자들의 민원성질문들과 법적인 문제,
그리고 법의해석등에 대하여 끝임없이 ,어쩌면 "목슴걸듯이(?) 그렇게들 열성인 분들이 많읍니다
본인은 오랜 관리소장 경험으로 인하여 많은 주택관리사의 배출로 인하여 아주 원활하고 준법을 잘지키며
조용하고 쾌적한 아파트가 만들어질것이라고 하는 그러한 생각에 공감을 해야하는지 아직도--
대개 아파트의 문제는 크게 몇가지 유형으로 분류해보면
1.초기 입주관리시의 문제
--사실 아파트의 비리문제.기타 관리상의 문제는 초기관리시 문제가 잉태되어 나온다고 보시면 대개 맞는것으로,
예를 들자면 하자보수로 인한 건설사와의 하자보수문제, ,초기 관리업체및 기타 용역업체 선정문제
2. 입주후 5년 에서 10년정도의 중기 아파트 문제
--이때즘이면 아파트의 노후가 가 서서히 진행되는 시기로 각종 시설이나 비품등의 교체나 보수등이 시작되는
3 . 그리고 도 관리주체,그러니가 관리업자의 선정이나 교체등의 문제
--사실 이문제는 그냥 관리인정도로 치부할수도 있는 문제이지만 ,한번 초기에 관리를 맡으면 대략 10여년을 내리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고,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관리소장이나 직원들의 교체여부도 같이 맏물려 있어 그중에서도 중요한 관리문제의 이슈라고 할수있겠읍니다
처음 관리를 하시는 동대표분들을 보면 옛날과 마인드라고 할가 사고가 많이 다른것을 저는 최근에야 알게되엇읍니다 주택관리사들의 대량 배출로 인한 채용예정자들의 폭주등으로 단지 관리가 너무 쉽게 이루어진다는 생각을 덜쳐버릴수 없었읍니다 "널린게 자격증인걸" 말한마디에 바로 밥줄이 달린 직장을 더나야 하니ㅊㅊㅊ
그레서 아파트문제가 언론에 크레 대두되고 그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적지않은 사람들이 고통을
한편으로는 그러한 상황을 만긱하시는 듯하니--
그래 처음 관리에 입문하시는 분들에게 조언을 드리고 싶은 심정은, 이제는 많은 입주자대표들이나 관리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이미 그냥 법적인 문구에 얽매이지는 않는다는것이지요. 관리사들은 얼려있고 법적인 조치는 많이 뒤처지고 -
아무튼 새해부터는 아파트문제가 정말 공정하고 말게 그렇게 관리되어지기를
--오로지 일심으로--
'주택관리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가함께 행복지원센터 관리업무 진단·자문 대상단지 선정 (0) | 2016.03.27 |
---|---|
[스크랩] 15-0877 민원인 - 공동주택의 외부 회계감사 대상(「주택법」 제45조의3제1항 관련) (0) | 2016.01.25 |
[스크랩] 2015년 주택관리분야 10대 뉴스-공동주택관리법, 외부회계감사, 아파트 화재사고, 주택관리사보 선발예정인원제 등 (0) | 2016.01.03 |
공동주택회계처리지침 (0) | 2016.01.02 |
[스크랩] 2016년 주택관리사(보) 연간교육일정 (0) | 2015.12.29 |